MobaXterm을 사용해 로컬 PC인 윈도우에서 서버 측 컴퓨터인 리눅스에 SSH로 접속하기 위한 설정입니다.
MobaXterm SSH 설정
MobaXterm 상단 아이콘 중 “Session”을 클릭합니다. 또는 상단 메뉴 중 “Sessions”을 선택 후 “New session”을 선택합니다.
![MobaXterm](https://iter.kr/wp-content/uploads/2022/02/20220217-18-1.webp)
새창이 나타나면 상단 아이콘 중 “SSH”를 선택 후 붉은색으로 표시한 부분을 입력해 줍니다.
![MobaXterm Session](https://iter.kr/wp-content/uploads/2022/02/20220217-18-2.webp)
첫 번째 “Remott host”에는 접속할 서버의 아이피 주소 또는 도메인을 입력합니다. 도메인을 입력할 때는 “example.com”처럼 프로토콜이나 www 없이 넣어 주면 됩니다.
두 번째 “Specify username”은 선택 사항이지만 매번 접속할 때마다 입력하지 않게 미리 작성해 놓습니다.
“Specify username”은 서버 컴퓨터 계정명입니다. 제 경우 우분투를 설치했기 때문에 “ubuntu”로 입력했습니다.
비트나미를 사용하고 있다면 “bitnami”로 입력합니다.
보안 키 대시 로그인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사람 모양 아이콘을 클릭해 로그인 암호를 저장해 놓을 수 있습니다.
![MobaXterm user name save](https://iter.kr/wp-content/uploads/2022/02/20220217-18-3.webp)
“New” 버튼을 클릭해 Name란에 임의적으로 차후 구별하기 쉬운 이름을 입력 후 “username” 서버 컴퓨터 계정명을 입력합니다.
Password는 미리 입력해도 되고 접속할 때마다 입력해도 됩니다.
세 번째 “Port”는 기본적인 22입니다.
그리고 보안 인증키를 이용해 접속하는 경우 하단에 “Use private key”에 체크 후 입력란 끝에 있는 아이콘을 클릭합니다.
윈도우 탐색 창이 나타나면 보안 키 파일이 있는 경로로 이동해 선택해 줍니다.
보안 키는 확장자는 “key” 또는 “pem”, “ppk”어는 것을 사용해도 무방 합니다. 참고로 AWS 라이트 세일의 경우 “pem”을 사용합니다.
마지막 네 번째는 북마크 표시로 선택 사항입니다. “Session name”에 구분하기 쉬운 이름을 정해 입력합니다. 웹사이트 라면 사이명 정도를 입력하면 되겠습니다.
![MobaXterm Bookmark](https://iter.kr/wp-content/uploads/2022/02/20220217-18-4.webp)
그리고 하단에 “OK” 버튼을 클릭하면 모든 설정이 완료되고 SSH로 바로 접속됩니다.
![MobaXterm ssh 접속](https://iter.kr/wp-content/uploads/2022/02/20220217-18-5.webp)
다시 접속할 때는 왼쪽 탐색 창에서 별 모양 아이콘을 선택 후 등록한 것을 찾아 클릭하면 접속됩니다.